조선세법(朝鮮勢法)
조선세법
조선세법이 처음 소개된 책은 중국 명나라의 모원의가 쓴 무비지이다. 이 책은 척계광의 기효신서와 더불어 중국의 대표적인 병법서이다. 이 무비지 권86에 유일하게 도보가 갖추어진 검법이 실려 있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세법이다. 우리나라 조선조 정조때 발간된 무예도보통지에는 조선세법을 그대로 옮겨 실었으면서도 '조선세법'이라 하지 않고 '예도'라고 하였다.
朝鮮勢法 조선세법
신라검법(新羅劍法)에서 비롯된 우리 나라 고유의 검법을 말한다. 그 진수(眞髓)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격법(擊法) 다섯 가지, 자법(刺法) 다섯 가지, 세법(洗法) 세 가지 등으로서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질 정도로 최상의 검법이었다고 한다.
朝 아침 조, 고을 이름 주
부수 月 총획 12획
1. (아침 조)
2. 아침
3. 조정(朝廷)
鮮 고울 선/생선 선
부수 魚 총획 17획
1. 곱다
2. 빛나다
3. 선명하다(鮮明--)
勢 형세 세
부수 力 총획 13획
1. 형세(形勢)
2. 권세(權勢)
3.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法 법 법
부수 氵 총획 8획
1. 법(法)
2. 방법(方法)
3. 불교(佛敎)의 진리(眞理)
武備志 무비지 : 무인이 갖추어야할 뜻과 가치
武 호반 무
부수 止 총획 8획
1. 호반(虎班: 무관(武官)의 반열(班列)) 2. 무인(武人) 3. 무사(武士), 병사(兵士)
備 갖출 비
부수 亻 총획 12획
1. 갖추다 2. 준비하다(準備--) 3. 채우다, 충당하다(充當--: 모자라는 것을 채워 메우다)
志 뜻 지, 기치 치
부수 心 총획 7획
1. (뜻 지) 2. 뜻 3. 마음
紀效新書 기효신서
紀 벼리 기
부수 糹 총획 9획
1. 벼리(그물 코를 꿴 굵은 줄ㆍ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2. 해
3. 세월(歲月)
效 본받을 효
부수 攵 총획 10획
1. 본받다
2. 배우다
3. 나타내다, 드러내다
新 새 신
부수 斤 총획 13획
1. 새, 새로운
2. 새로, 새롭게, 새롭게 다시
3. 처음, 처음으로
書 글 서
부수 曰 총획 10획
1. 글, 글씨
2. 글자
3. 문장(文章)
武藝圖譜通志 무예도보 통지
조선 정조 때, 왕명에 따라 무예 이십사반을 그림으로 풀어 설명한 책, 4권 4책의 목판본.
武 호반 무
부수 止 총획 8획
1. 호반(虎班: 무관(武官)의 반열(班列))
2. 무인(武人)
3. 무사(武士), 병사(兵士)
藝 재주 예/심을 예
부수 艹 총획 18획
1. 재주
2. 기예(技藝), 문예(文藝)
3. 법도(法度), 준칙(準則: 준거할 기준이 되는 규칙이나 법칙)
圖 그림 도
부수 囗 총획 14획
1. 그림
2. 도장(圖章)
3. 서적(書籍)
譜 족보 보
부수 言 총획 19획
1. 족보(族譜)
2. 계보(系譜)
3. 악보(樂譜)
通 통할 통
부수 辶 총획 11획
1. 통하다(通--)
2. 내왕하다(來往--)
3. 알리다
志 뜻 지, 기치 치
부수 心 총획 7획
1. (뜻 지)
2. 뜻
3. 마음
眞髓 진수
사물이나 현상의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부분
眞 참 진
부수 目 총획 10획
1. 참
2. 진리(眞理)
3. 진실(眞實)
髓 뼛골 수
부수 骨 총획 23획
1. 뼛골(뼈의 골수)
2. 골수(骨髓: 물질의 중심에 있어 굳기름처럼 응고된 것)
3. 정수(精髓: 사물의 중심이 되는 골자 또는 요점)
擊法 격법 : 치는 방법
擊 칠 격
부수 手 총획 17획
1. 치다 2. 부딪치다 3. 공격하다(攻擊--)
法 법 법
부수 氵 총획 8획
1. 법(法) 2. 방법(方法) 3. 불교(佛敎)의 진리(眞理)
刺法 자법 : 찌르는 방법
刺 찌를 자, 찌를 척
부수 刂 총획 8획
1. (찌를 자) 2. 찌르다, 찔러 죽이다 3. 끊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洗法 세법 : 격법이나 자법을 행하고 칼의 이물질이 묻어있는 것을을 제거하고 칼집에 칼을 수납하는 방법이 포함된 방법
洗 씻을 세, 깨끗할 선
부수 氵 총획 9획
1. (씻을 세) 2. (물로)씻다 3. 다듬다, 갈고 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