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劍道/검도총담

검도 이론 : 키워드 정리(1page)

by 양평 대저택 2024. 4. 22.
1. 검도의 사계(四戒)에 대하여 논하라. 경구의혹(驚懼疑惑)
- 사계란? 경은 상대의 움직임에 놀라는 것, 구는 상대의 명성에 위축되어 두려워하는 것, 의는 자신감이 없어 망성리는 것,
혹은 상대의 유인책에 끌려드는 것.

2. 심판원으로서의 마음자세에 대하여 논하라.
- 마음자세 : 엄정, 공명정대 / 올바른 인격과 태도 / 반성하는 자세
- 자격(기능) : 검도 기능(기술, 한판의 판단) / 경기규칙 숙지, 운영 / 자신감 / 검리에 정통 / 경기자의 수준 파악(초, 여, 일반) / 선수에 대한 신뢰감

3. 검도의 본(本)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논하라.
- 필요성 : 검도의 기술과 검리를 이해하고 습득한다. / 기회와 호흡을 배우고 익힌다.
- 효과 : 칼 다루는 법과 예법을 익힌다. / 격법(格法)과 격자(擊刺)의 원리를 배우고 자세를 배운다. / 거리와 기회를 알고 존심을 익힌다. / 바른 자세를 배운다. / 기합이 단련되고 기백이 충실해진다.

4. 연격의 효과에 대하여 논하라
- 바른자세, 원활한 칼의 운용, 민첩한 발 움직임, 격눔, 거리, 호흡, 체력, 타력, 기력, 기검체 일치의 격자법을 습득한다.

5. 기검체 일치에 대하여 논하라.
- 격자동작의 바른 방법을 일컫는 말로 기력과 칼과 뭄이 이치가 되게 해야한다.

6. 지도자로서의 자격에 대하여 논하라.
- 마음가짐 : 가르치는데 있어 성실한 태도를 유지한다. / 올바른 검도인과 생활인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 / 올바른 인격과 태도를 기른다.
- 자세 : 검도 기능 향상을 위해 꾸준히 연습한다.(기술숙달) / 검도에 대한 제반 이론(검도실기, 검도의 본, 심판법 등)에 대해 공부한다.

7. 선(先)에 대하여 논하라.
- 선의선 : 내가 먼저 상대를 몰아 재빨리 기선을 잡아 공격하는
것이다. 현(懸)의 선이라고도 한다.(마음의 틈이 생길 때)
- 대의 선 : 상대를 몰아 상대가 공격하는 순간 먼저 상대를 공격하는 것이다.(자세의 틈이 생길 대)
- 후의 선 : 상대의 공격을 되받아 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받차치기, 돌려치기, 스쳐치기를 말한다. 대(待)의 선(先) 이라고도 한다. (기술의 틈이 생길때)

8. 유효격자에 대하여 논하라 : 경기규칙 2장 2절 12조(유효격자)
- 충실한 기세, 적정한 자세로서 죽도의 격자부로 겨작부위(호구)를 칼날을 바르게(칼날의 방향)하여 격자하고 존심이 있어야 한다.

9. '거리'에 대하여 논하라.
- 원간(遠間), 근간(近間), 一足一刀(일족일도, 한칼의 거리) / 마음(선의 선), 자세(대의 선), 기술(후의 선) / 기회는 이러한 거리와 틈을 상대의 모든 움직임을 파악하고 허점을 찾는 가운데 기회가 생기거나 오는 것이다.

10 격자의 기회에 대하여 기술하세요.
함께 마주서서 아무렇게나 격자를 하게 되면 어지간히 기량 차이가 나지 않는 한, 그 격자가 상대의 격자 목표를 칠 가능성은 매우 적다. 상대방도 마찬가지로 이쪽의 틈을 노리고 이쪽의 격자를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부터 많은 선인(先人)들이 격자의 기회에 대한 것을 놓고 실험해왔다. 그리하여 가장 효과적인 기회를 세 가지 뽑았낸 것이 '세 가지 놓칠 수 없는 때'로서, 상대가 동작을 일으키는 순간, 상대의 기술이 다한 때, 상대가 (나의 칼을) 받아 멈춘 때가 그것이다. 한편 이를 10가지로 구분한 경우도 있다. (1937년 <심사자를 위한 검도교본>). 1) 상대의 자세에 틈이 있을때 친다. 2) 격자의 기회를 자신이 만들었을 때 친다. 3)상대가 나오려는 순간을 노려 친다. 4) 상대가 치고 오는 순간에 생기는 틈을 노려 친다. 5) 상대의 자세가 안정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자세를 고치고 그것이 충분하지 않을 대를 노려 친다. 6) 상대가 휘두른 중도를 치거나 스치거나 받아 흘리거나 감거나 하여 상대 죽도를 죽인 순간에 친다. 7) 상대가 움직이지 않고 붙어 있는 때를 친다. 8) 상대를 서두르게 한 후에 친다. 9) 상대의 기술이 다한 때를 노려 친다. 10) 상대의 마음에 의심이 생긴 때를 친다. 이외에 '상대가 물러나는 때'도 격자의 기뢰호 흔히 언급된다.